코멘토 1차 업무
: 실제 개발 과제에 사용하는 Components 및 filter 류 조사 및 분석
❋ R, L, C, Diode
1. 저항 (Resistor - R): 저항은 전기적인 흐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. 단위는 옴(Ω)이며, 전기 회로에서 전류의 흐름을 조절하거나 전압을 분배하는 데 사용된다.
2. 인덕터 (Inductor - L): 인덕터는 전류의 변화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는 부품이다. 전류가 흐를 때 자기장을 생성하고, 전류가 중단되면 에너지를 방출한다. 주로 저주파에서 필터링이나 에너지 저장 장치로 사용된다.
3. 커패시터 (Capacitor - C): 커패시터는 전하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며, 두 전극 사이에 전압을 유지한다. 전기장을 축적하고 방출하는 데 사용되며, 고주파에서는 필터링이나 펄스 형성에 활용된다.
4. 다이오드 (Diode): 다이오드는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반도체 부품이다. 주로 전류의 정류, 반복적인 신호 변환, 전압 정전 등에 사용된다. 정방향 전압에서는 전류가 흐르지만 역방향 전압에서는 전류가 차단된다.
❋ Filter - HPF / BPF / LPF / BSF
1. High Pass Filter (HPF - 고주파 통과 필터): HPF는 특정 주파수 이상의 신호를 통과시키고 낮은 주파수를 차단한다. 저주파 신호를 걸러내고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키는데 사용된다. 음성 통화에서 배경 잡음 제거 등에 활용될 수 있다.
2. Band Pass Filter (BPF - 대역 통과 필터): BPF는 특정 주파수 대역 내의 신호를 통과시키고 다른 주파수를 차단한다. 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추출하는 데 사용된다. 라디오 수신기,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.
3. Low Pass Filter (LPF - 저주파 통과 필터): LPF는 특정 주파수 이하의 신호를 통과시키고 높은 주파수를 차단한다. 고주파 잡음을 걸러내고 저주파 신호를 통과시켜 시스템에서 원하는 대역의 신호를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. 음향 장치나 음악 재생기에서 저음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.
4. Band Stop Filter (BSF - 대역 차단 필터): BSF는 특정 주파수 대역 내의 신호를 차단하고 그 외의 주파수를 통과시킨다.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잡음이나 원치 않는 신호를 차단하는 데 사용된다. 전파 통신에서 다른 주파수에서 발생하는 간섭을 차단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.
❋ BUCK / LDO
BUCK 레귤레이터(Buck Regulator)와 LDO(Low Dropout Regulator)는 전원 공급 회로에서 사용되는 레귤레이터(Regulator)로서, 입력 전압을 안정된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고 제어하는데 사용된다.
BUCK는 전력 효율이 중요한 고전력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.
1. BUCK 레귤레이터:
- 동작 원리: BUCK 레귤레이터는 입력 전압을 낮추는 방식으로 동작한다. 즉, 고전압 입력에서 안정된 낮은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다.
- 특징
: 효율적인 에너지 변환
높은 효율성을 가지며, 고입력 전압에서 낮은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다.
: 단계별 제어
PWM (Pulse Width Modulation) 또는 PFM (Pulse Frequency Modulation)과 같은 제어 기술을 사용하여 출력을 조절한다.
: 대부분의 전력 변환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된다.
2. LDO (Low Dropout Regulator):
- 동작 원리: LDO 레귤레이터는 전압 강하가 낮은 레귤레이터로서, 입력과 출력 간의 전압 강하(전압 드롭)를 최소화한다. LDO는 낮은 전류에서 안정된 전압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하다.
- 특징
: 간단한 설계
단일 트랜지스터와 오류 증폭기를 사용하여 간단한 회로로 구성된다.
: 낮은 드롭아웃 전압
입력과 출력 간의 전압 강하가 낮아 적은 전압이 소비된다.
: 안정된 출력
입력 전압이 약간 변동해도 출력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.
: 낮은 출력 전류에서 효과적
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출력 전류에서 사용된다.
❋ Memory (LPDDR, eMMC, UFS)
Memory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기 위한 중요한 컴퓨터 하드웨어 부품이다. 여러 유형의 메모리가 있으며, 각각은 다른 목적과 특성을 가지고 있다. 이 중에서 LPDDR (Low Power Double Data Rate), eMMC (embedded MultiMediaCard), 그리고 UFS (Universal Flash Storage)에 대하여 보자.
1. LPDDR (Low Power Double Data Rate):
- 용도 및 특징:
- 주로 모바일 기기 및 포터블 컴퓨터에서 사용
- 낮은 전력 소모와 높은 대역폭을 제공하여 배터리 수명을 향상
- 데이터 전송률이 높아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읽고 쓸 수 있음.
- 주로 RAM (Random Access Memory)으로 사용되며, 이는 프로세서가 빠르게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임시 데이터 저장 공간임.
2. eMMC (embedded MultiMediaCard):
- 용도 및 특징:
- 주로 임베디드 시스템 및 모바일 기기에서 내장형 저장소로 사용
- 소형, 경량, 저렴하며, 여러 기능을 통합한 칩 형태로 제공
- 일반적으로 읽기 속도는 빠르지만 쓰기 속도는 느리며, 주로 대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는 데 적합
- 파일 시스템이 통합되어 있어 쉽게 사용할 수 있음
3. UFS (Universal Flash Storage):
- 용도 및 특징:
- 주로 모바일 기기 및 일부 컴퓨터에서 빠른 데이터 전송과 높은 처리 속도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
- 플래시 메모리를 기반으로 하며, eMMC보다 향상된 성능을 제공
- 병렬 및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여 더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
- UFS 2.0 및 그 이후의 버전은 더 높은 대역폭 및 고급 기능을 제공
-이러한 메모리 유형들은 각각의 장점과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, 사용 목적과 요구 사항에 따라 선택되어야 함.
-LPDDR는 주로 RAM으로 사용되어 프로세서에 빠른 액세스를 제공하고, eMMC 및 UFS는 데이터 저장 및 읽기에 사용되며, UFS는 더 높은 성능을 제공
'AI HW study > 잡다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KT AI Fellowship 6기 - Task 02 (0) | 2024.05.02 |
---|---|
코멘토 2차 업무 (0) | 2024.01.14 |
vscode로 ssh 원격 접속 (0) | 2024.01.10 |
실바코 cadence (0) | 2024.01.10 |
멤리스터 (0) | 2023.08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