요구사항 확인 -3
도출 : 사용자가 본인이 원하는 요구사항들을 얘기하는 것을 개발자들이 자료를 모아서 어떤 요구사항들이 나오는 지를 도출해내는 과정
명세 : 문서화하는 단계, 분석하고 문서들을 만들어 냄
확인 : 그 문서가 제대로 작성이 되어있는 지 확인작업
서로 원하는 게 맞는지 확인하는 단계
요구사항들을 분석해서 수학적인 기호들이나 논리 기호로 명확하게 표현하는 단계
가능한지 불가능한지 판단
시각적으로 설계도를 만드는 데 이것을 그림으로 표현한 언어라고 말할 수 있음
다이어그램 중에서 동적 모델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. 이런 문제가 나온다.
그래서 어느 소속인지 부터 외워야 함. 위에 적은 것도 일부만 적은 것
정적 모델 : 구조에 초점을 맞춘 다이어그램, 그림을 그리긴 그렸는데, 시스템 구조가 어떤 식으로 구성이 되어있는지가 초점이다.
동적 모델 : 시스템이 어떤 동작을 하는 지, 거기에 초점이 가 있으면 정적 모델이다.
각각 클래스 다이어그램,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이 가장 많이 쓰이니까 이 둘만 설명을 해보면 아래와 같다.
<클래스 다이어그램의 예시 - 공공도서관 도서 대출>
(그림)
도서관에서 도서를 대출하는 상황을 말로 표현해둠
1. 클래스가 될 만한 명사들을 찾아준다. '회원' '대출' '도서' -> 클래스 결
2. 매소드는 행위,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나타냄. 나중에 이것을 가지고 함수로 나타낼 수 있음
회원은 회원가입을 할 수 있다. 대출에서는 대출, 반납, 연체 등의 행위가 이루어진다.
3. 속성이라는 것은 그 클래스가 가지고 있는 특성이다. 틀래스가 하나의 세트로 만들어진다.
<스테레오 타입>
(그림)
저 길러멧은 우리가 만드는 일반적인 << >>보다 조금 더 작은 모양이다.
동적 모델에서 가장 대표적인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
<그림>
사용자 관점**이라는 것이 중요하다.
어떻게 만드는 지를 보면
<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- 시스템> (그림)
<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- 액터> (그림)
액터는 시스템의 바깥쪽에서 서로 교류를 할 수 있는 액터를 찾고 이름을 지칭한다.
<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- 유스케이스> (그림)
무엇을 해줄 수 있는 지를 기술한다. 동사의 형태로 표현
<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- 관계> (그림)
3가지로 분류해서 표현한다.
연관관계는 실선으로 표현, 포함관계는 점선으로 그리고 <<include>>라고 작성
확장 관계는 점선에 화살표가 반대가 된다. 위에 extend라고 표시
일반화관계는 유사한 내용을 묶어서 추상화한 관계 , 일반화해서 grouping해주면 된다.
<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- 예제> 그림
'AI HW study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. 요구 사항 확인 (1) | 2024.07.14 |
---|---|
매 시험마다 꼭 나올 것으로 예상하는 부분 (0) | 2024.07.14 |
기출+개념암기+코딩 (0) | 2024.06.28 |
정보처리기사 필기 - 제 1과목 - 소프트웨어 설계 핵심요약 (0) | 2024.02.11 |
정보처리기사(2020. 6. 6.) (0) | 2024.02.04 |